허니~ 춥고 건조할 때에 어울리는 성분이죠.
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 오늘 살펴 볼 허니와 관련된 제품입니다.
제품명만 보면 앰플일까? 스킨일까? 헤깔리실 수도 있는데요.
전성분을 통해서 어떤 제형에 가까울까 예상해보겠습니다.
정제수, 글리세린, 프로판다이올, 부틸렌글라이콜, 베타인, 꿀추출물,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, 1,2-헥산다이올, 피피지-13-데실테트라데세스-24, 페녹시에탄올, 향료, 아크릴레이트/C10-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, 트로메타민, 에틸헥실글리세린, 생강추출물, 다이소듐이디티에이,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, 메도우폼씨오일, 서양유채씨오일, 토코페롤
일단 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에서 내세우는 꿀 성분은 제주유채꿀추출물로 10,800ppm이 첨가되었다고 나오는데요. 계산해보면 1.08%입니다.
그리고 곁들여서 내세우는 생강추출물은 200ppm 함유로 계산하면 0.02%입니다.
숫자만 보면 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의 꿀 성분 양은 적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.
하지만 추출물도 질에 따라서 이 숫자는 무의미할 수도 있습니다.
농축된 것이라면 적게 첨가되어도 의미있는 양이 되거든요.
묽은 것 많이 첨가해봤자 농축된 것 조금이 결과적으로는 더 첨가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.
그런 경우에 해당이 되었길~
꿀추출물, 생강추출물은 보조적인 것으로 중요하지만 어쨌든 화장품에서는 유수분베이스가 제일 중요합니다.
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은 제품군에서 알 수 있듯이 보습성분이 어떤 것으로 이루어졌는지 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은데요.
전성분상 보통 보습제로써 많이 사용되는 글리세린과 보습성분 중 좀 더 단가도 높고 좋은, 요즘 많이 사용하기 시작한 보습성분이 함께 보습베이스로 활용되었습니다.
전체적으로 봤을 때 무난하고 괜찮은 보습베이스이고요.
나머지 부분들을 살펴보면 특이한 점이 점증제 성분과 피막형성제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.
아무래도 약간의 점도와 사용감을 주어서 앰플의 고농축인 듯한 느낌을 조금 주려고 한 듯 합니다.
물론 이 성분들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이 첨가된다면 좀 실망할 수도 있는데요.
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의 사용법 상에 화장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 것을 보니 그 정도 까지는 아닌 듯 합니다.
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에서 사용한 한 점증제 쪽에는 어느 정도 이상으로 첨가되면 찍찍~ 늘어나는 제형이 되고 맙니다. 그런 제형이라면 화장솜을 이용한 사용법은 불편할 수 있고요. 그러므로 어 느정도 점도나 사용감을 주는 정도로 첨가되었다고 생각이 됩니다.
그 밖에 방부시스템은 무난해 보이네요.
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니스프리 진저허니 앰플스킨은 좋은 보습제가 베이스인 점도가 약간 있는 스킨 쪽으로 보시고 피부에 맞으신다면 보습용으로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~
'브랜드화장품 전성분 분석해보기 > 스킨토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네즈 크림스킨 성분분석 (0) | 2018.11.13 |
---|---|
차앤박 듀얼밸런스 안티 오일리 토너는 괜찮은 보습제를 사용한 스킨토너 (0) | 2016.10.27 |
마루빌츠 하이드로 토닉 전성분 분석 (0) | 2015.12.04 |
더샘 하라케케 토너 전성분 분석 (0) | 2015.11.30 |